태그 보관물: 국세정보와밝은사회뉴스

아카이브,박내후작가,20250309

“한국의 마지막 선비”라고 불려진 작가. 박내후 한국화가.

박내후 작가는 한국화 작가이다. (Park Nae Hoo 朴來厚) 1971년 홍익대 동양화과에 입학한 이후에 꾸준히 작업을 하다가 2009년 1월에 작고한 작가다. 작가가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400여점 안팎의 작품들을 남겼다. 아내인 박명숙씨가 작가의 사망이후 세상에서 남편의 작품들이 잊혀지지 않도록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박내후미술관]이라는 이름의 유튜브채널을 개설하여 박명숙씨(Park Myeong Suk 朴明淑)의 나레이션과 박내후작가의 작품이 어우러진 영상은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안겨주고 있다.

아산문화재단, 국가 유산청, 국회에서 공공예술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과 함께 서지자료로서는 충남문화관광재단에서 발간한 ‘충남미술 연구총서4 ‘ : 충남미술사보유편(2025.2.19)’에 박내후 작가의 해제문이 기록되어있다.

박명숙씨의 노력을 상업예술에도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한국화가이면서도 다양한 분야의 연구와 다독을 했었기에 동양화와 서양화, 공공과 상업 모두에서 활동할 수 있는 작품을 그려낼 수 있던 탁월한 작가가 박내후작가이다. 그래서 그의 사망이 더욱 애석할 따름이다.

영상에서는 이러한 활동들에 대한 영상아카이빙을 했다. 영상에 대한 감상은 작품들을 보면서 중간중간에 나오는 글자료를 보면서 박내후작가의 작품에 대한 이해를 쌓을 수 있을 것이다. 추가로 박내후작가에 대한 자료와 글을 접하고 싶은 이들을 위해서 링크자료를 첨가했다.

박내후작가 자료 리스트

1. 유튜브채널 박내후미술관 : 박내후미술관바로가기

2. 더스쿠프 소개기사 : 무상의 시대 무변의 예술혼 바로가기

3. 더코리안저널 소개기사 : 기사바로가기

4. 아산포커스뉴스 소개기사 : 기사바로가기

5. 뉴스프리존 소개기사 : 기사바로가기

6. 중기뉴스타임 소개기사 : 기사바로가기

7. 피플투데이 소개기사 : 기사바로가기


English

(English)

The artist known as “the last Confucian scholar of Korea.” Park Nae Hoo, a Korean painter.

Park Nae Hoo (朴來厚) was a Korean painter. He entered the Department of Oriental Painting at Hongik University in 1971 and continued his work until he passed away in January 2009. Before his death, he left behind approximately 400 artworks. His wife, Park Myeong Suk (朴明淑), has been making various efforts to ensure that her husband’s works are not forgotten.

She created a YouTube channel called [Park Nae Hoo Art Museum], where videos combining her narration with Park Nae Hoo’s works have moved many viewers.

Public art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at the Asan Cultural Foundation, the Chungmugong Foundation, and the National Assembly. Additionally, in the bibliographical archives, the artist’s commentary is recorded in Chungnam Art Research Series 4: Chungnam Art History Preservation (published by the Chungnam Cultural Tourism Foundation on February 19, 2025).

Park Myeong Suk also continues her efforts in commercial art. Park Nae Hoo was an exceptional artist who, despite being a Korean painter, engaged in extensive research and reading in various fields. His ability to create works that blended Oriental and Western painting, as well as public and commercial art, demonstrated his remarkable talent. His passing is all the more regrettable.

The videos serve as an archival record of these activities. By watching the videos and reading the accompanying text, viewers can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Park Nae Hoo’s art.


日本語

「韓国の最後の儒学者」と呼ばれた作家。韓国画家、パク・ネフ。

パク・ネフ(朴來厚)は韓国の画家である。1971年に弘益大学の東洋画科に入学し、創作活動を続け、2009年1月に逝去した。生前に約400点の作品を残した。彼の妻であるパク・ミョンスク(朴明淑)は、夫の作品が世の中で忘れられないように様々な努力をしている。

【パク・ネフ美術館】という名前のYouTubeチャンネルを開設し、パク・ミョンスクのナレーションとパク・ネフの作品を組み合わせた映像が、多くの人々に感動を与えている。

また、アサン文化財団、忠武公財団、国会で公共芸術活動を行っている。書籍資料としては、忠南文化観光財団が発刊した『忠南美術研究叢書4:忠南美術史保有編(2025年2月19日)』に、パク・ネフの解題が記録されている。

パク・ミョンスクの努力は商業芸術の分野にも及んでいる。韓国画家でありながらも、多様な分野の研究や読書を重ねたため、東洋画と西洋画、公共芸術と商業芸術の両方で活躍できる卓越した作家であった。それゆえ、彼の死は非常に惜しまれる。

映像には、こうした活動のアーカイブが収められている。映像を鑑賞し、作品とともに表示される文章を読むことで、パク・ネフの作品についての理解を深め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


中文

被称为“韩国最后的儒士”的作家,韩国画家朴来厚。

朴来厚(朴來厚)是一位韩国画家。1971年,他考入弘益大学东方画系,并持续创作,直到2009年1月去世。他在生前留下了约400件作品。他的妻子朴明淑(朴明淑)一直在努力,让丈夫的作品不被世人遗忘。

她开设了一个名为【朴来厚美术馆】的YouTube频道,通过她的解说与朴来厚的作品结合的视频,感动了许多观众。

阿散文化基金会、忠武公基金会和国会正在进行公共艺术活动。此外,在文献资料方面,忠南文化观光基金会出版的《忠南美术研究丛书4:忠南美术史保存篇(2025年2月19日)》中收录了朴来厚的作品解读。

朴明淑的努力也延续到了商业艺术领域。尽管朴来厚是一名韩国画家,但由于他在多个领域的研究和广泛阅读,他能够创作融合东方与西方、公共与商业的作品,展现了卓越的艺术才能。因此,他的去世令人更加惋惜。

这些视频对这些活动进行了影像存档。观众可以通过观看视频和阅读其中的文字资料,更深入地理解朴来厚的艺术作品。


Français

L’artiste surnommé « le dernier lettré de Corée », Park Nae Hoo, peintre coréen.

Park Nae Hoo (朴來厚) était un peintre coréen. Il est entré au département de peinture orientale de l’Université Hongik en 1971 et a poursuivi son travail jusqu’à son décès en janvier 2009. Avant sa disparition, il a laissé environ 400 œuvres. Sa femme, Park Myeong Suk (朴明淑), s’efforce de préserver son héritage et de faire en sorte que ses œuvres ne soient pas oubliées.

Elle a créé une chaîne YouTube appelée [Musée d’Art Park Nae Hoo], où des vidéos associant sa narration aux œuvres de l’artiste touchent de nombreuses personnes.

Des projets d’art public sont menés par la Fondation culturelle d’Asan, la Fondation Chungmugong et l’Assemblée nationale. De plus, dans les archives, un texte d’analyse sur l’artiste est inclus dans Collection de recherches sur l’art du Chungnam 4 : Conservation de l’histoire de l’art du Chungnam (publié par la Fondation culturelle et touristique du Chungnam le 19 février 2025).

Park Myeong Suk poursuit également son engagement dans l’art commercial. Bien que Park Nae Hoo ait été un peintre coréen, ses recherches et ses lectures approfondies lui ont permis de créer des œuvres mêlant peinture orientale et occidentale, art public et commercial. Sa disparition est d’autant plus regrettable.

Les vidéos constituent une archive de ces activités. En regardant ces vidéos et en lisant les textes qui les accompagnent, les spectateurs peuvent approfondir leur compréhension de l’œuvre de Park Nae Hoo.


Italiano

L’artista conosciuto come “l’ultimo letterato confuciano della Corea”. Park Nae Hoo, pittore coreano.

Park Nae Hoo (朴來厚) era un pittore coreano. Si iscrisse al dipartimento di pittura orientale dell’Università di Hongik nel 1971 e continuò a lavorare costantemente fino alla sua scomparsa, avvenuta nel gennaio 2009. Prima della sua morte, lasciò circa 400 opere. Sua moglie, Park Myeong Suk (朴明淑), si impegna attivamente affinché le opere del marito non vengano dimenticate.

Ha creato un canale YouTube chiamato [Museo d’Arte di Park Nae Hoo], dove i video, che combinano la sua narrazione con le opere dell’artista, emozionano molte persone.

Attualmente, sono in corso attività artistiche pubbliche promosse dalla Fondazione Culturale di Asan, dalla Fondazione Chungmugong e dall’Assemblea Nazionale. Inoltre, tra i materiali di riferimento, si trova un saggio dedicato a Park Nae Hoo nella Collana di Studi sull’Arte di Chungnam 4: Conservazione della Storia dell’Arte di Chungnam, pubblicata dalla Fondazione Culturale e Turistica di Chungnam il 19 febbraio 2025.

Park Myeong Suk continua anche il suo impegno nell’arte commerciale. Pur essendo un pittore coreano, Park Nae Hoo ha esplorato diversi campi di ricerca e ha letto molto, il che gli ha permesso di creare opere che integrano sia la pittura orientale che quella occidentale, spaziando tra arte pubblica e commerciale. La sua scomparsa è davvero un’enorme perdita.

Questi video fungono da archivio delle sue attività. Guardando i video e leggendo i testi che compaiono di tanto in tanto, il pubblico può sviluppare una comprensione più profonda delle opere di Park Nae Hoo.


Deutsch

Der Künstler, bekannt als „der letzte konfuzianische Gelehrte Koreas“. Park Nae Hoo, ein koreanischer Maler.

Park Nae Hoo (朴來厚) war ein koreanischer Maler. Er trat 1971 in die Abteilung für orientalische Malerei an der Hongik-Universität ein und arbeitete kontinuierlich bis zu seinem Tod im Januar 2009. Vor seinem Tod hinterließ er etwa 400 Werke. Seine Frau, Park Myeong Suk (朴明淑), setzt sich intensiv dafür ein, dass seine Werke nicht in Vergessenheit geraten.

Sie gründete einen YouTube-Kanal namens [Park Nae Hoo Kunstmuseum], auf dem Videos mit ihrer Erzählung und den Werken des Künstlers viele Menschen berühren.

Öffentliche Kunstprojekte werden von der Asan-Kulturstiftung, der Chungmugong-Stiftung und dem Nationalparlament durchgeführt. Außerdem ist eine Analyse zu Park Nae Hoo in der Chungnam-Kunstforschungsreihe 4: Bewahrung der Kunstgeschichte von Chungnam enthalten, die von der Chungnam-Kultur- und Tourismusstiftung am 19. Februar 2025 veröffentlicht wurde.

Park Myeong Suk setzt ihre Bemühungen auch im kommerziellen Kunstbereich fort. Obwohl Park Nae Hoo ein koreanischer Maler war, ermöglichte ihm seine umfangreiche Forschung und Lektüre in verschiedenen Bereichen, Werke zu schaffen, die sowohl orientalische als auch westliche Malerei sowie öffentliche und kommerzielle Kunst miteinander verbanden. Sein Tod ist umso bedauerlicher.

Diese Videos dienen als Archiv dieser Aktivitäten. Durch das Ansehen der Videos und das Lesen der begleitenden Texte können die Zuschauer ein tieferes Verständnis für die Kunst von Park Nae Hoo entwickeln.


Latin

Artifex, qui “ultimus litteratus Coreae” appellatus est. Park Nae Hoo, pictor Coreanus.

Park Nae Hoo (朴來厚) pictor Coreanus fuit. Anno 1971 in facultatem picturae Orientalis Universitatis Hongik ingressus est et assidue laboravit, donec mense Ianuario anni 2009 mortuus est. Ante mortem suam circiter quadringenta opera reliquit. Uxor eius, Park Myeong Suk (朴明淑), variis modis conatur ne opera eius oblivione deleantur.

Canalem YouTube nomine [Museum Artis Park Nae Hoo] creavit, ubi imagines cum narratione eius coniunctae multos commovent.

Artes publicae promoventur a Fundatione Culturalis Asan, Fundatione Chungmugong, et Concilio Nationali. Praeterea, inter fontes scriptos, exstat commentarius de artificis operibus in Collectanea Studiorum Artis Chungnam IV: Historia Artis Conservanda in Chungnam (editus a Fundatione Culturalis et Turistica Chungnam die 19 Februarii 2025).

Park Myeong Suk etiam in arte mercatoria operam continuat. Park Nae Hoo, quamvis pictor Coreanus esset, ob amplam investigationem ac multam lectionem, opera creavit quae artem Orientalem et Occidentalem, publicam et mercatoriam coniungebant. Eius mors eo magis dolenda est.

Hae imagines archivum harum actionum conservant. Spectatores per has imagines et inscriptiones intellegentiam operum Park Nae Hoo altius acquirere possunt.

소극장 혜화당, ‘제1회 123 페스티벌 시상식’ 개최,

올해로 창립 10년을 맞이한 소극장 혜화당(대표 이승구)이 중극장 혜화당으로 도약을 위한 첫 신호탄으로 ‘제1회 123 페스티벌 시상식’을 개최했다.

123 페스티벌은 갈수록 상업화, 대형화되는 문화 산업의 한 가운데에서 연극의 깊이와 진정성에 대한 화두로 시작한 1인극 2인극 3인극 중심의 연극제로 2025년 1월 1일부터 2월 9일까지 5주간 총 5개 작품으로 진행되었다.

작품상 체크메이트 공연장면 (copyright. 국세정보와 밝은사회, 123페스티벌조직위원회)

123페스티벌 작품상으로는 극단 그럼에도 불구하고의 “체크메이트”가, 연기상에는 박연하 배우가 영광의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123 페스티벌 조직위원장(조진아)은 “연극의 꽃은 배우이며 소극장에서 경험할 수 있는 감동은 인물을 제한한 1,2,3 인극을 통한 교감이 아닐까 했습니다. 배우 수를 제한한 만큼 작품의 구성과 연기에도 고뇌의 흔적이 보인 연극제였습니다. 내년도에는 배우와의 토크쇼와 관객 선정단 등 더 많은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페스티벌 전당인 혜화당의 간판 페스티벌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라고 소감을 밝혔다.

편집부에서도 연극을 관람을 했었는데, 1,2,3 인극과 같이 인물을 제한한 연극이어서 더욱 집중을 할 수 있었다. 기획과 조직력의 내공을 보여주는 것 같았다. 그리고 연극을 진행하는 배우들의 감정선과 극의 흐름이 너무도 강렬하여 푹 빠져들었던 것으로 기억이 남는다. 소셜미디어로 더욱더 개인화된 동시대에 몰입할 수 있는 최고의 연극무대였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더욱 큰 성장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2회 페스티벌에서 더 큰 성장을 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김선곤 편집장 소감

[Copyright.국세정보와 밝은사회 뉴스, 편집부]

유아트쇼룸(UArt ShowRoom 2025), 창의력과 감성을 깨우는 예술의 향연, 2025년 2월 21일 ~ 23일, 롯데호텔

2025년 2월 21일부터 23일까지 진행되는 유아트쇼룸(UArt ShowRoom 2025)이 예술 애호가들과 창작자들을 위한 특별한 축제로 돌아온다. 서울 롯데호텔에서 개최되는 이번 행사에서는 현대 미술, 미디어 아트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신작 전시와 더불어 신진 작가들의 참신한 작품도 대거 공개될 예정이다.

국내외 유명 작가 참여

이번 유아트쇼룸에는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는 작가들이 대거 참여한다. 세계적인 현대 미술 작가부터 신진 크리에이터까지 폭넓은 라인업을 자랑하며, 각 작가의 개성 넘치는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현대 미술과 디지털 아트의 결합을 시도하는 작품들이 주목받고 있으며, NFT 및 AI 기반의 창작물도 전시되어 새로운 예술의 방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

예술을 사랑하는 모든 이를 위한 축제

유아트쇼룸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예술을 접하고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방문객이 자유롭게 작품을 감상하고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콘텐츠도 제공된다. 더불어 SNS 이벤트와 해시태그 캠페인을 통해 온라인에서도 관람객들과의 소통을 이어갈 예정이다.

행사 개요

  • 전시 정보: 기간 : 2025년 2월 21일 ~ 23일
  • 장소 : 서울 명동 롯데호텔 11층(Lotte Hotel 11F, 서울시 중구 을지로 30 )

이번 유아트쇼룸은 예술을 사랑하는 누구나 함께할 수 있는 축제의 장이 될 것이다. 현대 예술의 흐름을 경험하고, 감성을 자극하는 다양한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말자.

[Copyright.국세정보와 밝은사회 뉴스, 편집부]

안산 월피맑은샘지역아동센터, 지역 아동을 위한 희망의 터전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월피맑은샘지역아동센터가 지역 아동들에게 따뜻한 보금자리와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며 주목받고 있다. 방과 후 보호가 필요한 아동들에게 안전한 환경을 마련하고, 정서적 안정과 학업 성취를 돕는 여러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아동 성장 지원

센터는 아동들의 전인적 성장을 돕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방과 후 숙제 지도와 학습 멘토링을 통해 학업 능력을 향상시키고, 미술·음악·체육 활동 등을 통해 창의력과 사회성을 키운다. 또한, 전문 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며, 균형 잡힌 급식을 제공해 건강한 성장을 돕는다. 이 외에도 체험 학습과 캠프 등 특별 프로그램을 마련해 아동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지역 사회와 함께하는 나눔과 협력

월피맑은샘지역아동센터는 지역 사회와의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기업과 단체의 후원을 통해 필요한 물품을 지원받고 있으며, 대학생과 직장인 멘토를 연결해 학습 및 진로 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명절 나눔 행사나 지역 축제에 참여해 아동들이 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아이들의 변화, 그리고 밝은 미래

센터의 꾸준한 노력 덕분에 많은 아동들이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학업 성취도가 향상되고 자신감이 생긴 아이들이 많아졌으며, 상담을 통한 정서적 안정으로 사회성이 크게 발달한 사례도 있다. 다양한 활동을 통해 꿈과 목표를 설정하는 아동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아이들이 꿈을 키우는 공간으로”

센터 관계자는 “월피맑은샘지역아동센터는 단순한 돌봄 시설이 아니라, 아이들이 자신의 꿈을 키우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곳이 되고자 한다”고 밝혔다. 학부모들 역시 “아이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보호받고 다양한 교육 기회를 얻을 수 있어 안심된다”며 만족감을 나타냈다. 센터를 이용하는 한 아동은 “여기서 친구들과 공부하고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많은 것을 배우고 있다”며 즐거움을 표현했다.

앞으로의 계획과 비전

월피맑은샘지역아동센터는 앞으로도 체계적인 교육 및 돌봄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지역 사회와의 협력을 확대해 지속 가능한 지원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아동 개개인의 특성과 필요에 맞춘 맞춤형 지원을 통해 실질적인 성장과 발전을 도모할 예정이다.

지역 아동들에게 희망을 심어주고 있는 월피맑은샘지역아동센터. 앞으로도 이 공간이 더욱 많은 아이들에게 따뜻한 쉼터가 되고, 밝은 미래를 위한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Copyright.국세정보와 밝은사회 뉴스, 편집부]

정영란 시인의 출판기념회 성황리에 개최, 2025년 1월 11일(토) 오후 3시, 안산 월피예술도서관 다목적홀

케이크 커팅식 [Copyright.국세정보와밝은사회]

2025년 1월 11일(토) 오후 3시, 안산 월피예술도서관 다목적홀에서 정영란 시인의 시집 및 수필집 출판기념회가 성황리에 열렸다. 이 행사는 정영란 시인의 문학적 여정을 축하하고, 독자들과 소통하는 특별한 자리로 마련되었다. 이번 행사는 정영란 시인의 깊은 문학 세계를 조명함과 동시에 김선곤 작가의 예술작품도 함께 소개되며 다채로운 예술적 경험을 제공했다.

김선곤작가 작품들 [Copyright.국세정보와 밝은사회]

행사 시작은 신하정 시인의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개회 선언과 국민의례를 통해 경건하게 시작되었다. 이어 정영란 시인이 직접 내빈들을 소개하고, 시인으로서의 소회를 담은 인사말을 전했다. 그녀는 이번 출판을 통해 “삶의 의미와 사람들 간의 따뜻한 교감을 나누고 싶다”는 바람을 밝혔다. 특히, 그녀가 그동안 출판한 시집 “인정의 꽃밭에서”, “너는 참 예뻐”와 수필집 “친구야 심장이 터질 것 같지”는 기존의 독자들과 새로운 독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다.

출판기념회에서는 시인의 시 낭독이 이어졌으며, 특별히 김가연 학생과 김종각 시인, 주애경 시인이 낭송자로 참여해 작품의 감동을 더했다. 낭독된 시들은 삶과 자연, 그리고 사람들 간의 관계에 대한 깊은 통찰과 감성을 담고 있어 참석자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겼다.

또한, 이번 행사에서는 김선곤 작가의 그림들이 함께 전시되어 문학과 미술의 융합을 선보였다. 작가의 작품들은 섬세한 선과 추상적인 구도로 주제를 표현하며, 정영란 시인의 문학 작품들과 조화롭게 어우러졌다. 행사장 한편에 놓인 김선곤 작가의 작품들은 참석자들의 눈길을 끌며 큰 호응을 얻었다.

이재천 발행인 격려사 [Copyright.국세정보와 밝은사회]

마지막으로 케이크 커팅식과 기념 촬영을 통해 행사가 마무리되었다. 이 날 참석한 많은 문학인들과 지역 주민들은 시인의 작품 세계를 공감하며 함께 축하의 시간을 보냈다. 정영란 시인은 “문학과 예술을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한 이번 행사는 잊을 수 없는 추억으로 남을 것”이라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정영란 시인의 문학적 열정과 예술적 교류를 보여준 이번 출판기념회는 문학과 예술이 어우러지는 따뜻한 자리였다. 이번 행사는 정영란 시인의 새로운 시작을 알리며, 그녀의 작품이 더 많은 이들에게 닿기를 기대케 했다.

[Copyright.국세정보와 밝은사회 뉴스, 편집부]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영향력 강화 – 2025년, 사회 변화와 정책 전환을 이끌다

최근 몇 년 동안 문화예술교육은 단순한 창의적 학습의 영역을 넘어, 사회적 변화와 문화적 전환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이 사회와 문화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개개인과의 내적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사회적 이슈와 도전 과제에 적용되고 있는 가운데, 2025년에는 이러한 교육이 실제 정책과 사업으로 전환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 이는 문화예술이 단지 여가를 위한 활동에 그치지 않고, 사회 문제 해결과 문화 발전을 위한 강력한 도전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음을 의미한다.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 확대

문화예술교육은 과거 몇 가지 주요한 예술적 능력을 개발하는 차원을 넘어서, 최근에는 사회적, 심리적,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사회적 약자, 소수자,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그들의 자기 인식 향상과 사회적 참여를 유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인종과 문화를 배경으로 한 예술 활동은 사회적 통합을 촉진하고, 공동체 정신을 함양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은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계층에게도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예술 교육은 개인의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지역사회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 약자나 소외된 계층에게 문화예술은 단순한 교육을 넘어 경제적 기회와 사회적 존중을 이끌어낼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이 된다.

2025년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전환

2025년, 문화예술교육이 정책과 사업으로 전환될 수 있는 구체적인 구조가 마련되고 있다. 정부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예술과 사회가 상호작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25년부터는 문화예술교육이 정책적으로 강화되어, 예술 분야의 재정적 지원이 확대되고, 지역 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창의적 사회적 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는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지역문화센터와 예술교육기관, 학교 등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이 사회적 변화와 문화적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예술 교육이 단지 학문적 수준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실생활에 적용될 수 있는 창의적인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문화예술교육, 새로운 사회적 패러다임을 열다

문화예술교육은 이제 단순히 예술적 기술을 배우는 과정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감성과 사고를 확장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중요한 교육적 과정으로 변모하고 있다. 2025년을 기점으로, 이러한 교육의 사회적 역할은 더욱 강화될 것이다. 예술은 더 이상 고립된 영역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개인의 자아 실현을 돕는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는 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서도 확산되고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사회적 변화는 점차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예술은 우리 사회의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도전적 도구로,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사회적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Copyright.국세정보와 밝은사회 뉴스, 편집부]

2025학년도부터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 학생 중심의 교육으로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 선택 가능

2025학년도부터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되며, 고등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선택하고 학점을 취득하는 제도가 도입된다. 이는 기존의 획일적인 교육과정을 탈피하고 학생 개개인의 특성과 진로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변화로, 교육 현장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고교학점제의 주요 내용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여러 과목을 선택하여 학점을 취득하는 제도이다. 기존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정해진 과목을 모두 수강해야 했지만,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고, 이 과목을 수료한 후 학점을 인정받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는 학생들이 보다 자율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선택함으로써 개인의 성장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학생들은 2025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다양한 선택 과목을 수강하게 되며, 이 과목들은 예술, 체육, 인문학, 사회과학, 과학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학생들은 자신의 관심 분야에 맞는 과목을 선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깊이 있는 학습이 가능해진다. 또한, 학점 이수 기준을 충족시키면 졸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교육의 유연성과 개인화가 더욱 강조된다.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대한 영향

고교학점제의 도입은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국 교육 시스템은 대학 진학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많은 학생들이 정해진 커리큘럼에 맞춰 교육을 받는다. 하지만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학생들은 자신의 관심사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선택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진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예술을 좋아하는 학생은 예술 관련 과목을, 과학에 관심이 많은 학생은 과학 관련 과목을 더 많이 수강할 수 있어, 자신의 진로를 보다 구체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이러한 변화는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한 학생들뿐만 아니라 직업 교육을 원하는 학생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직업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선택 과목을 통해 전문성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며, 이는 직업 교육의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명확히 하고, 더 나아가 사회에 필요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줄 것이다.

교사와 학부모의 역할

고교학점제의 전면 시행은 학생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지만, 그만큼 교사와 학부모의 역할도 중요해진다. 학생들이 과목을 선택하는 데 있어 충분한 지도와 조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각 과목의 특성과 내용을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과목 선택에 있어 혼란을 겪지 않도록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과목을 선택할 때 적절한 지원을 해줘야 하며, 자녀의 관심사와 진로를 고려한 과목 선택을 독려해야 한다. 부모와 자녀 간의 긴밀한 소통이 이루어질 때, 학생들은 보다 나은 교육 환경에서 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Copyright.국세정보와 밝은사회 뉴스, 편집부]

경기도, 2025년 예산 38조 7천억원 확정 – 인공지능 등 신산업 중심 스타트업 지원 확대

2025년 경기도는 경제 활성화를 위한 예산 38조 7천억원을 확정하며, 특히 인공지능(AI) 및 기타 신산업 분야의 스타트업 지원 확대에 집중할 계획을 밝혔다. 이는 경기도가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도의 이번 예산안은 신산업 중심의 창업 생태계 조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관련 산업의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38조 7천억원 예산안, 신산업 중심으로 지원 확대

경기도는 올해 예산안에 약 38조 7천억원을 배정하면서, 특히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바이오 등 첨단 산업과 관련된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고 발표했다. 경기도는 스타트업들이 혁신적 기술을 바탕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필요한 연구개발(R&D) 자금과 기업 공간, 멘토링 등을 제공하는 데 집중할 예정이다. 특히, AI 분야의 성장은 글로벌 트렌드에 발맞춰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경기도는 이 분야에서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AI 및 신산업 스타트업의 성장 가능성

경기도는 AI 기술을 포함한 신산업이 한국 경제의 중요한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는 판단 하에, 스타트업들이 이러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예고했다. AI 기술은 의료, 제조, 물류,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경기도는 이러한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들이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창업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예산안에는 AI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 펀드와 연구소 구축이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분야에 필요한 인재들이 기업에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채용 프로그램도 함께 추진될 예정이다. 또한, 경기도는 지역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해외 진출 지원도 강화할 예정이다.

스타트업 생태계와 경제 활성화

경기도의 스타트업 지원 확대는 단순히 기업의 성장을 도울 뿐만 아니라,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신산업 중심의 창업 환경이 잘 구축되면, 해당 분야의 인재들이 경기도로 몰려들고, 이는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스타트업의 성장은 중소기업의 성장으로 이어지며, 경기도의 경제 구조 다변화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타트업이 일자리 창출의 중요한 원천으로 부각되면서, 경기도는 이를 위해 더욱 적극적인 정책을 펼칠 것이다. 예산안에서 언급된 AI 및 신산업 중심의 스타트업 지원은 그동안 경기도가 추진해온 창업 지원 정책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이를 통해 경기도는 더욱 경쟁력 있는 창업 환경을 구축할 예정이다.

미래를 위한 지속 가능한 투자

경기도의 2025년 예산안은 신산업 중심의 경제 성장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의지를 보여준다. 경기도는 향후 5년간 지속적으로 이러한 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며, 글로벌 경제 변화에 대응하는 유연한 경제 정책을 펼칠 계획이다. 경기도는 이번 예산안을 통해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들고, 첨단 산업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기도의 스타트업 지원 확대는 대한민국 경제의 혁신을 이끌어갈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할 것이다. 이제 경기도는 국내외 스타트업들의 성장을 도울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한국 경제의 새로운 장을 열어갈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국세정보와 밝은사회 뉴스, 편집부]

조기 대선 준비: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후, 후보자들의 치열한 선거 캠페인과 정책 발표

2025년 대한민국 정치의 가장 큰 이슈는 조기 대선이다. 지난해 2024년 12월 14일, 국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이 가결되었다. 현재 헌법재판소에서 진행 중인 탄핵 심판의 결과에 따라 조기 대선이 확정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정치권에서는 후보자들의 선거 캠페인과 정책 발표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과에 따른 조기 대선 가능성

윤석열 대통령은 2024년 12월 14일, 국회에서 탄핵 소추안이 가결되었다. 탄핵 소추안이 가결되면서 정치권과 사회는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윤 대통령은 권한을 상실하게 되며, 이 경우 60일 이내에 새로운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대선이 치러져야 한다.

탄핵 소추안 가결 이후, 대한민국 정치권은 사실상 ‘조기 대선’을 준비하는 분위기로 전환되었다. 여야 정치인들은 후보자들의 선거 캠페인과 정책 발표를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대선 후보들의 선거 캠페인과 정책 발표

조기 대선이 확정되면, 후보자들은 짧은 기간 동안 자신을 알리고 유권자들에게 자신을 선택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미 여러 주요 정당들은 유력 후보를 내세우고 각자의 선거 캠페인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를 중심으로 대선 캠페인을 펼칠 예정이며, 보수 진영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을 지지했던 인물들이나 새로운 얼굴들이 대선 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후보자들은 자신의 정책을 선보이며 유권자들에게 신뢰를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재명 대표는 경제 회복과 사회적 약자 보호를 주요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보수 진영 후보들은 국가 안보 강화와 국가 재정 건전성 유지 등의 공약을 내놓고 있다. 또한, 정치권의 대세는 경제와 일자리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이와 함께 공정성과 청렴성을 강조하는 정책들이 주요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치권의 변화와 새로운 정치인들의 등장

이번 조기 대선에서는 기존의 정치인들만이 아니라, 새로운 정치인들의 등장도 예상된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은 정치인들이 전국적인 인지도를 얻으며 대선 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이들은 기존 정치인들과 차별화된 정책과 리더십을 내세우며, 젊은 유권자들을 겨냥한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이번 대선에서는 정치적 양극화를 해소하고, 협력과 타협을 강조하는 후보들도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특히, 지난 몇 년간의 정치적 갈등과 혼란을 되돌아보며, 정치적 안정과 사회적 통합을 추구하려는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Copyright.국세정보와 밝은사회 뉴스, 편집부]

“문학과 감성을 나누다” – 정영란 시인의 출판 기념회 개최, 2025년 1월 11일 오후 3시, 안산 월피예술도서관

오는 2025년 1월 11일 오후 3시, 안산 월피예술도서관에서 정영란 시인의 시집과 수필집 출판을 기념하는 행사가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안산 월피예술도서관과 재단법인 안산시해남군향우회의 후원과 협찬으로 진행되며, 문학과 예술을 사랑하는 이들이 함께하는 따뜻한 시간이 될 예정이다.

행사는 신하정 시인의 사회로 진행된다. 개회 선언과 국민의례로 문을 연 후, 애국가 제창과 목념을 통해 진중한 분위기가 이어질 예정이다. 이어서 정영란 시인의 내빈 소개와 저자 인사말이 있고, 이재천 발행인과 청일문학 부회장들이 축사를 통해 축하의 메시지를 전할 것이다. 또한 조영옥 시인이 제작한 특별 영상이 상영되어 참석자들에게 감동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번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저자의 시 낭독과 독자와의 소통 시간이다. 정영란 시인은 직접 자신의 시를 낭송하며 창작 배경과 시인이 되기까지의 이야기를 풀어낸다고 한다. 독자들은 그녀의 시를 통해 문학적 감수성을 느끼며 깊이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김기연 학생과 김종각, 주애경 시인이 낭송할 시는 행사의 품격을 한층 높여줄 것이다. 그리고 출판 기념회에서는 정영란 시인의 새로운 도서들이 소개될 예정이다. 시집 ‘너는 참 예뻐’와 수필집 ‘친구야 심장이 터질 것 같지’, 그리고 시집 2집 ‘인정의 꽃밭에서’가 이번에 출판된 도서들로, 이들 작품은 그녀의 섬세한 감정과 삶의 깊이를 담아내고 있다. 특히, 이번 행사는 도서관 내에서 조용히 진행되어 문학 행사로서의 격조를 유지하며 참석자들에게 의미 있는 시간을 제공할 것이다.

이번 행사는 문학을 통해 사람들의 마음을 하나로 묶는 자리가 될 것이며, 안산 지역 문학계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이번 행사와 함께 김선곤 화가의 디지털기술을 기반한 회화작품 전시도 진행이 된다고 한다. 시와 그림작품들이 행사의 예술적인 분위기를 더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정영란 시인의 작품은 독자들에게 새로운 영감을 선사하며, 이번 행사는 지역 예술과 문학의 소중한 가치를 다시금 일깨워주는 뜻깊은 시간이 될 것이다.

[Copyright.국세정보와 밝은사회 뉴스, 편집부]